스리 구루 그란트 사흐브

페이지 - 472


ਨੀਲ ਵਸਤ੍ਰ ਪਹਿਰਿ ਹੋਵਹਿ ਪਰਵਾਣੁ ॥
neel vasatr pahir hoveh paravaan |

파란색 예복을 입고 그들은 무슬림 통치자들의 승인을 구합니다.

ਮਲੇਛ ਧਾਨੁ ਲੇ ਪੂਜਹਿ ਪੁਰਾਣੁ ॥
malechh dhaan le poojeh puraan |

무슬림 통치자들로부터 빵을 받아들이면서도 그들은 여전히 푸라나를 숭배합니다.

ਅਭਾਖਿਆ ਕਾ ਕੁਠਾ ਬਕਰਾ ਖਾਣਾ ॥
abhaakhiaa kaa kutthaa bakaraa khaanaa |

그들은 무슬림 기도문을 낭독한 후에 죽인 염소의 고기를 먹습니다.

ਚਉਕੇ ਉਪਰਿ ਕਿਸੈ ਨ ਜਾਣਾ ॥
chauke upar kisai na jaanaa |

하지만 그들은 다른 사람이 주방 공간에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ਦੇ ਕੈ ਚਉਕਾ ਕਢੀ ਕਾਰ ॥
de kai chaukaa kadtee kaar |

그들은 주위에 선을 긋고 소똥으로 땅을 칠합니다.

ਉਪਰਿ ਆਇ ਬੈਠੇ ਕੂੜਿਆਰ ॥
aupar aae baitthe koorriaar |

거짓은 와서 그들 안에 앉는다.

ਮਤੁ ਭਿਟੈ ਵੇ ਮਤੁ ਭਿਟੈ ॥
mat bhittai ve mat bhittai |

그들은 “우리 음식에 손을 대지 마십시오.

ਇਹੁ ਅੰਨੁ ਅਸਾਡਾ ਫਿਟੈ ॥
eihu an asaaddaa fittai |

아니면 오염될 거예요!"

ਤਨਿ ਫਿਟੈ ਫੇੜ ਕਰੇਨਿ ॥
tan fittai ferr karen |

그러나 그들은 오염된 몸으로 악행을 저지릅니다.

ਮਨਿ ਜੂਠੈ ਚੁਲੀ ਭਰੇਨਿ ॥
man jootthai chulee bharen |

더러운 마음으로 입을 깨끗하게 하려고 합니다.

ਕਹੁ ਨਾਨਕ ਸਚੁ ਧਿਆਈਐ ॥
kahu naanak sach dhiaaeeai |

Nanak은 참 주님을 묵상하라고 말합니다.

ਸੁਚਿ ਹੋਵੈ ਤਾ ਸਚੁ ਪਾਈਐ ॥੨॥
such hovai taa sach paaeeai |2|

당신이 순수하다면 참 주님을 얻게 될 것입니다. ||2||

ਪਉੜੀ ॥
paurree |

포레:

ਚਿਤੈ ਅੰਦਰਿ ਸਭੁ ਕੋ ਵੇਖਿ ਨਦਰੀ ਹੇਠਿ ਚਲਾਇਦਾ ॥
chitai andar sabh ko vekh nadaree hetth chalaaeidaa |

모든 것이 당신의 마음 속에 있습니다. 오 주님, 당신은 그들을 당신의 은혜의 눈길 아래서 보시고 감동시키십니다.

ਆਪੇ ਦੇ ਵਡਿਆਈਆ ਆਪੇ ਹੀ ਕਰਮ ਕਰਾਇਦਾ ॥
aape de vaddiaaeea aape hee karam karaaeidaa |

당신께서는 친히 그들에게 영광을 주시고 그들이 행동하게 하십니다.

ਵਡਹੁ ਵਡਾ ਵਡ ਮੇਦਨੀ ਸਿਰੇ ਸਿਰਿ ਧੰਧੈ ਲਾਇਦਾ ॥
vaddahu vaddaa vadd medanee sire sir dhandhai laaeidaa |

주님은 위대한 자 중에 가장 크신 분이십니다. 그분의 세계는 위대합니다. 그는 그들의 임무에 모두 참여합니다.

ਨਦਰਿ ਉਪਠੀ ਜੇ ਕਰੇ ਸੁਲਤਾਨਾ ਘਾਹੁ ਕਰਾਇਦਾ ॥
nadar upatthee je kare sulataanaa ghaahu karaaeidaa |

그분께서 노한 눈길을 보내시면 왕들을 풀잎으로 변화시키실 수 있습니다.

ਦਰਿ ਮੰਗਨਿ ਭਿਖ ਨ ਪਾਇਦਾ ॥੧੬॥
dar mangan bhikh na paaeidaa |16|

집집마다 구걸해도 자선을 베푸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16||

ਸਲੋਕੁ ਮਃ ੧ ॥
salok mahalaa 1 |

살록, 퍼스트 멜:

ਜੇ ਮੋਹਾਕਾ ਘਰੁ ਮੁਹੈ ਘਰੁ ਮੁਹਿ ਪਿਤਰੀ ਦੇਇ ॥
je mohaakaa ghar muhai ghar muhi pitaree dee |

도둑은 집을 털고 훔친 물건을 조상들에게 바칩니다.

ਅਗੈ ਵਸਤੁ ਸਿਞਾਣੀਐ ਪਿਤਰੀ ਚੋਰ ਕਰੇਇ ॥
agai vasat siyaaneeai pitaree chor karee |

내세에서도 이를 인정하여 그의 조상도 도둑으로 여기느니라.

ਵਢੀਅਹਿ ਹਥ ਦਲਾਲ ਕੇ ਮੁਸਫੀ ਏਹ ਕਰੇਇ ॥
vadteeeh hath dalaal ke musafee eh karee |

중개인의 손이 잘립니다. 이것이 주님의 정의입니다.

ਨਾਨਕ ਅਗੈ ਸੋ ਮਿਲੈ ਜਿ ਖਟੇ ਘਾਲੇ ਦੇਇ ॥੧॥
naanak agai so milai ji khatte ghaale dee |1|

오 나나크여, 내세에서는 자기 자신의 수입과 노동으로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는 것만 받습니다. ||1||

ਮਃ ੧ ॥
mahalaa 1 |

첫 번째 멜:

ਜਿਉ ਜੋਰੂ ਸਿਰਨਾਵਣੀ ਆਵੈ ਵਾਰੋ ਵਾਰ ॥
jiau joroo siranaavanee aavai vaaro vaar |

여자는 매달 월경을 하기 때문에

ਜੂਠੇ ਜੂਠਾ ਮੁਖਿ ਵਸੈ ਨਿਤ ਨਿਤ ਹੋਇ ਖੁਆਰੁ ॥
jootthe jootthaa mukh vasai nit nit hoe khuaar |

거짓의 입에는 거짓이 깃들여 있느니라. 그들은 계속해서 영원히 고통을 받습니다.

ਸੂਚੇ ਏਹਿ ਨ ਆਖੀਅਹਿ ਬਹਨਿ ਜਿ ਪਿੰਡਾ ਧੋਇ ॥
sooche ehi na aakheeeh bahan ji pinddaa dhoe |

몸만 씻고 앉아 있는 사람은 순수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ਸੂਚੇ ਸੇਈ ਨਾਨਕਾ ਜਿਨ ਮਨਿ ਵਸਿਆ ਸੋਇ ॥੨॥
sooche seee naanakaa jin man vasiaa soe |2|

오 나낙이여, 그 마음 속에 주님이 거하시는 그들만이 순수합니다. ||2||

ਪਉੜੀ ॥
paurree |

포레:

ਤੁਰੇ ਪਲਾਣੇ ਪਉਣ ਵੇਗ ਹਰ ਰੰਗੀ ਹਰਮ ਸਵਾਰਿਆ ॥
ture palaane paun veg har rangee haram savaariaa |

안장을 얹은 말과 바람처럼 빠르게, 모든 면에서 장식된 하렘과 함께;

ਕੋਠੇ ਮੰਡਪ ਮਾੜੀਆ ਲਾਇ ਬੈਠੇ ਕਰਿ ਪਾਸਾਰਿਆ ॥
kotthe manddap maarreea laae baitthe kar paasaariaa |

그들은 집과 누각, 높은 대저택에 살면서 과시적인 쇼를 벌입니다.

ਚੀਜ ਕਰਨਿ ਮਨਿ ਭਾਵਦੇ ਹਰਿ ਬੁਝਨਿ ਨਾਹੀ ਹਾਰਿਆ ॥
cheej karan man bhaavade har bujhan naahee haariaa |

그 마음의 욕심대로 행하되 여호와를 깨닫지 못하여 멸망하는도다

ਕਰਿ ਫੁਰਮਾਇਸਿ ਖਾਇਆ ਵੇਖਿ ਮਹਲਤਿ ਮਰਣੁ ਵਿਸਾਰਿਆ ॥
kar furamaaeis khaaeaa vekh mahalat maran visaariaa |

그들은 자신의 권위를 주장하며 먹고, 자신의 처소를 바라보면서 죽음을 잊어버립니다.

ਜਰੁ ਆਈ ਜੋਬਨਿ ਹਾਰਿਆ ॥੧੭॥
jar aaee joban haariaa |17|

그러나 늙음이 오면 젊음은 사라진다. ||17||

ਸਲੋਕੁ ਮਃ ੧ ॥
salok mahalaa 1 |

살록, 퍼스트 멜:

ਜੇ ਕਰਿ ਸੂਤਕੁ ਮੰਨੀਐ ਸਭ ਤੈ ਸੂਤਕੁ ਹੋਇ ॥
je kar sootak maneeai sabh tai sootak hoe |

불순물의 개념을 받아들이면 모든 곳에 불순물이 존재하게 됩니다.

ਗੋਹੇ ਅਤੈ ਲਕੜੀ ਅੰਦਰਿ ਕੀੜਾ ਹੋਇ ॥
gohe atai lakarree andar keerraa hoe |

소똥과 나무에는 벌레가 있습니다.

ਜੇਤੇ ਦਾਣੇ ਅੰਨ ਕੇ ਜੀਆ ਬਾਝੁ ਨ ਕੋਇ ॥
jete daane an ke jeea baajh na koe |

밀알이 아무리 많아도 생명 없는 것은 없습니다.

ਪਹਿਲਾ ਪਾਣੀ ਜੀਉ ਹੈ ਜਿਤੁ ਹਰਿਆ ਸਭੁ ਕੋਇ ॥
pahilaa paanee jeeo hai jit hariaa sabh koe |

첫째, 물 속에는 생명이 있고, 이로 인해 모든 것이 녹색으로 변합니다.

ਸੂਤਕੁ ਕਿਉ ਕਰਿ ਰਖੀਐ ਸੂਤਕੁ ਪਵੈ ਰਸੋਇ ॥
sootak kiau kar rakheeai sootak pavai rasoe |

불순물로부터 어떻게 보호할 수 있나요? 그것은 우리 자신의 부엌에 닿습니다.

ਨਾਨਕ ਸੂਤਕੁ ਏਵ ਨ ਉਤਰੈ ਗਿਆਨੁ ਉਤਾਰੇ ਧੋਇ ॥੧॥
naanak sootak ev na utarai giaan utaare dhoe |1|

오 나낙이여, 이런 방법으로는 불순물을 제거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영적인 지혜에 의해서만 씻겨 나갑니다. ||1||

ਮਃ ੧ ॥
mahalaa 1 |

첫 번째 멜:

ਮਨ ਕਾ ਸੂਤਕੁ ਲੋਭੁ ਹੈ ਜਿਹਵਾ ਸੂਤਕੁ ਕੂੜੁ ॥
man kaa sootak lobh hai jihavaa sootak koorr |

마음의 더러운 것은 탐욕이요, 혀의 더러운 것은 거짓이니라.

ਅਖੀ ਸੂਤਕੁ ਵੇਖਣਾ ਪਰ ਤ੍ਰਿਅ ਪਰ ਧਨ ਰੂਪੁ ॥
akhee sootak vekhanaa par tria par dhan roop |

눈이 더러운 것은 남의 아내의 아름다움과 그의 재물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ਕੰਨੀ ਸੂਤਕੁ ਕੰਨਿ ਪੈ ਲਾਇਤਬਾਰੀ ਖਾਹਿ ॥
kanee sootak kan pai laaeitabaaree khaeh |

귀가 더러움은 남의 비방을 듣는 것입니다.

ਨਾਨਕ ਹੰਸਾ ਆਦਮੀ ਬਧੇ ਜਮ ਪੁਰਿ ਜਾਹਿ ॥੨॥
naanak hansaa aadamee badhe jam pur jaeh |2|

오 나낙이여, 필멸자의 영혼은 묶이고 재갈을 물리고 죽음의 도시로 갑니다. ||2||

ਮਃ ੧ ॥
mahalaa 1 |

첫 번째 멜:

ਸਭੋ ਸੂਤਕੁ ਭਰਮੁ ਹੈ ਦੂਜੈ ਲਗੈ ਜਾਇ ॥
sabho sootak bharam hai doojai lagai jaae |

모든 불순함은 의심과 이원성에 대한 집착에서 비롯됩니다.

ਜੰਮਣੁ ਮਰਣਾ ਹੁਕਮੁ ਹੈ ਭਾਣੈ ਆਵੈ ਜਾਇ ॥
jaman maranaa hukam hai bhaanai aavai jaae |

탄생과 죽음은 주님의 뜻에 따라 결정됩니다. 그분의 뜻을 통해 우리는 왔다가 갑니다.

ਖਾਣਾ ਪੀਣਾ ਪਵਿਤ੍ਰੁ ਹੈ ਦਿਤੋਨੁ ਰਿਜਕੁ ਸੰਬਾਹਿ ॥
khaanaa peenaa pavitru hai diton rijak sanbaeh |

먹고 마시는 것은 순수합니다. 주님께서 모든 사람에게 영양분을 공급하시기 때문입니다.

ਨਾਨਕ ਜਿਨੑੀ ਗੁਰਮੁਖਿ ਬੁਝਿਆ ਤਿਨੑਾ ਸੂਤਕੁ ਨਾਹਿ ॥੩॥
naanak jinaee guramukh bujhiaa tinaa sootak naeh |3|

오 나나크여, 주님을 이해하는 구르무크족은 불순함으로 더럽혀지지 않습니다. ||3||


목차 (1 - 1430)
페이지: 1 - 8
소 다르 페이지: 8 - 10
소 푸락 페이지: 10 - 12
소힐라 페이지: 12 - 13
시리 라그 페이지: 14 - 93
라그 마지 페이지: 94 - 150
라그 가우리 페이지: 151 - 346
라그 아사 페이지: 347 - 488
라그 구지리 페이지: 489 - 526
라그 데이브 간다리 페이지: 527 - 536
라그 비하그라 페이지: 537 - 556
라그 바단스 페이지: 557 - 594
라그 소라트 페이지: 595 - 659
라그 다나스리 페이지: 660 - 695
라그 제이스리 페이지: 696 - 710
라그 토디 페이지: 711 - 718
라그 베라리 페이지: 719 - 720
라그 틀랑 페이지: 721 - 727
라그 수히 페이지: 728 - 794
라그 빌라발 페이지: 795 - 858
라그 곤드 페이지: 859 - 875
라그 라믈리 페이지: 876 - 974
라그 낫 나라얀 페이지: 975 - 983
라그 마리 고라 페이지: 984 - 988
라그 마루 페이지: 989 - 1106
라그 투카리 페이지: 1107 - 1117
라그 케이다라 페이지: 1118 - 1124
라그 베이라오 페이지: 1125 - 1167
라그 바산트 페이지: 1168 - 1196
라그 사랑 페이지: 1197 - 1253
라그 말라르 페이지: 1254 - 1293
라그 칸라 페이지: 1294 - 1318
라그 칼리안 페이지: 1319 - 1326
라그 프라바티 페이지: 1327 - 1351
라그 자이자반티 페이지: 1352 - 1359
살록 세스크리티 페이지: 1353 - 1360
가타 5 메흘 페이지: 1360 - 1361
푼헤이 5 메흘 페이지: 1361 - 1363
차우볼라 5 메흘 페이지: 1363 - 1364
살록 카비르 지 페이지: 1364 - 1377
살록 파리드 지 페이지: 1377 - 1385
스바이야 시리 무크박 메흘 5 페이지: 1385 - 1389
스바이야 첫 번째 메흘 페이지: 1389 - 1390
스바이야 두 번째 메흘 페이지: 1391 - 1392
스바이야 세 번째 메흘 페이지: 1392 - 1396
스바이야 네 번째 메흘 페이지: 1396 - 1406
스바이야 다섯 번째 메흘 페이지: 1406 - 1409
살록 바란 태 바데이크 페이지: 1410 - 1426
살록 메흘 9 페이지: 1426 - 1429
문다바니 메흘 5 페이지: 1429 - 1429
라그말라 페이지: 1430 - 1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