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리 구루 그란트 사흐브

페이지 - 647


ਸਲੋਕੁ ਮਃ ੩ ॥
salok mahalaa 3 |

살록, 세 번째 멜:

ਪਰਥਾਇ ਸਾਖੀ ਮਹਾ ਪੁਰਖ ਬੋਲਦੇ ਸਾਝੀ ਸਗਲ ਜਹਾਨੈ ॥
parathaae saakhee mahaa purakh bolade saajhee sagal jahaanai |

위대한 사람들은 개인의 상황과 관련하여 가르침을 말하지만 전 세계가 이를 공유합니다.

ਗੁਰਮੁਖਿ ਹੋਇ ਸੁ ਭਉ ਕਰੇ ਆਪਣਾ ਆਪੁ ਪਛਾਣੈ ॥
guramukh hoe su bhau kare aapanaa aap pachhaanai |

구르무크가 된 사람은 신에 대한 두려움을 알고 자신의 자아를 깨닫습니다.

ਗੁਰਪਰਸਾਦੀ ਜੀਵਤੁ ਮਰੈ ਤਾ ਮਨ ਹੀ ਤੇ ਮਨੁ ਮਾਨੈ ॥
guraparasaadee jeevat marai taa man hee te man maanai |

구루의 은총으로 살아 있으면서도 죽은 채로 남아 있다면 마음은 그 자체로 만족하게 됩니다.

ਜਿਨ ਕਉ ਮਨ ਕੀ ਪਰਤੀਤਿ ਨਾਹੀ ਨਾਨਕ ਸੇ ਕਿਆ ਕਥਹਿ ਗਿਆਨੈ ॥੧॥
jin kau man kee parateet naahee naanak se kiaa katheh giaanai |1|

오 나낙이여, 자신의 마음에 믿음이 없는 자들이 어떻게 영적인 지혜를 말할 수 있겠습니까? ||1||

ਮਃ ੩ ॥
mahalaa 3 |

세 번째 멜:

ਗੁਰਮੁਖਿ ਚਿਤੁ ਨ ਲਾਇਓ ਅੰਤਿ ਦੁਖੁ ਪਹੁਤਾ ਆਇ ॥
guramukh chit na laaeio ant dukh pahutaa aae |

구르묵(Gurmukh)처럼 자신의 의식을 주님께 집중하지 않는 사람들은 결국 고통과 슬픔을 겪게 됩니다.

ਅੰਦਰਹੁ ਬਾਹਰਹੁ ਅੰਧਿਆਂ ਸੁਧਿ ਨ ਕਾਈ ਪਾਇ ॥
andarahu baaharahu andhiaan sudh na kaaee paae |

그들은 안팎으로 눈이 멀어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합니다.

ਪੰਡਿਤ ਤਿਨ ਕੀ ਬਰਕਤੀ ਸਭੁ ਜਗਤੁ ਖਾਇ ਜੋ ਰਤੇ ਹਰਿ ਨਾਇ ॥
panddit tin kee barakatee sabh jagat khaae jo rate har naae |

오, 종교학자이신 판디트님, 주님의 이름에 합당한 자들을 위해 온 세상이 양식을 얻습니다.

ਜਿਨ ਗੁਰ ਕੈ ਸਬਦਿ ਸਲਾਹਿਆ ਹਰਿ ਸਿਉ ਰਹੇ ਸਮਾਇ ॥
jin gur kai sabad salaahiaa har siau rahe samaae |

구루의 샤바드(Shabad)의 말씀을 찬양하는 사람들은 주님과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ਪੰਡਿਤ ਦੂਜੈ ਭਾਇ ਬਰਕਤਿ ਨ ਹੋਵਈ ਨਾ ਧਨੁ ਪਲੈ ਪਾਇ ॥
panddit doojai bhaae barakat na hovee naa dhan palai paae |

오, 종교 학자이시여, 오 판디트(Pandit)여, 누구도 만족하지 않으며, 어느 누구도 이원성에 대한 사랑을 통해 진정한 부를 찾지 못합니다.

ਪੜਿ ਥਕੇ ਸੰਤੋਖੁ ਨ ਆਇਓ ਅਨਦਿਨੁ ਜਲਤ ਵਿਹਾਇ ॥
parr thake santokh na aaeio anadin jalat vihaae |

그들은 성경 읽기에 지쳤지만 여전히 만족을 찾지 못하고 밤낮 불타오르는 삶을 보내고 있습니다.

ਕੂਕ ਪੂਕਾਰ ਨ ਚੁਕਈ ਨਾ ਸੰਸਾ ਵਿਚਹੁ ਜਾਇ ॥
kook pookaar na chukee naa sansaa vichahu jaae |

그들의 부르짖음과 불평은 결코 끝나지 않으며, 그들의 속에서는 의심이 떠나지 않습니다.

ਨਾਨਕ ਨਾਮ ਵਿਹੂਣਿਆ ਮੁਹਿ ਕਾਲੈ ਉਠਿ ਜਾਇ ॥੨॥
naanak naam vihooniaa muhi kaalai utth jaae |2|

오 나낙이여, 주님의 이름인 나암 없이 그들은 일어나서 검은 얼굴로 떠납니다. ||2||

ਪਉੜੀ ॥
paurree |

포레:

ਹਰਿ ਸਜਣ ਮੇਲਿ ਪਿਆਰੇ ਮਿਲਿ ਪੰਥੁ ਦਸਾਈ ॥
har sajan mel piaare mil panth dasaaee |

오 사랑하는 분이여, 제가 진정한 친구를 만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십시오. 그분을 만나서 나는 그분께 길을 보여달라고 요청할 것입니다.

ਜੋ ਹਰਿ ਦਸੇ ਮਿਤੁ ਤਿਸੁ ਹਉ ਬਲਿ ਜਾਈ ॥
jo har dase mit tis hau bal jaaee |

나에게 보여준 그 친구에게 나는 희생이다.

ਗੁਣ ਸਾਝੀ ਤਿਨ ਸਿਉ ਕਰੀ ਹਰਿ ਨਾਮੁ ਧਿਆਈ ॥
gun saajhee tin siau karee har naam dhiaaee |

나는 그분의 미덕을 그분과 나누고 주님의 이름을 묵상합니다.

ਹਰਿ ਸੇਵੀ ਪਿਆਰਾ ਨਿਤ ਸੇਵਿ ਹਰਿ ਸੁਖੁ ਪਾਈ ॥
har sevee piaaraa nit sev har sukh paaee |

나는 사랑하는 주님을 영원히 섬깁니다. 주님을 섬기면서 나는 평안을 찾았습니다.

ਬਲਿਹਾਰੀ ਸਤਿਗੁਰ ਤਿਸੁ ਜਿਨਿ ਸੋਝੀ ਪਾਈ ॥੧੨॥
balihaaree satigur tis jin sojhee paaee |12|

나는 나에게 이러한 이해를 전해 준 참 구루(True Guru)에 대한 희생입니다. ||12||

ਸਲੋਕੁ ਮਃ ੩ ॥
salok mahalaa 3 |

살록, 세 번째 멜:

ਪੰਡਿਤ ਮੈਲੁ ਨ ਚੁਕਈ ਜੇ ਵੇਦ ਪੜੈ ਜੁਗ ਚਾਰਿ ॥
panddit mail na chukee je ved parrai jug chaar |

오 종교학자인 판디트여, 네가 네 시대 동안 베다를 읽는다 할지라도 너의 오물은 지워지지 않을 것이다.

ਤ੍ਰੈ ਗੁਣ ਮਾਇਆ ਮੂਲੁ ਹੈ ਵਿਚਿ ਹਉਮੈ ਨਾਮੁ ਵਿਸਾਰਿ ॥
trai gun maaeaa mool hai vich haumai naam visaar |

세 가지 특성은 마야의 뿌리입니다. 이기심 때문에 주님의 이름인 나암을 잊어버립니다.

ਪੰਡਿਤ ਭੂਲੇ ਦੂਜੈ ਲਾਗੇ ਮਾਇਆ ਕੈ ਵਾਪਾਰਿ ॥
panddit bhoole doojai laage maaeaa kai vaapaar |

Pandits는 속고 이중성에 집착하며 마야에서만 거래합니다.

ਅੰਤਰਿ ਤ੍ਰਿਸਨਾ ਭੁਖ ਹੈ ਮੂਰਖ ਭੁਖਿਆ ਮੁਏ ਗਵਾਰ ॥
antar trisanaa bhukh hai moorakh bhukhiaa mue gavaar |

그들은 목마름과 배고픔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무지한 바보들은 굶어 죽는다.

ਸਤਿਗੁਰਿ ਸੇਵਿਐ ਸੁਖੁ ਪਾਇਆ ਸਚੈ ਸਬਦਿ ਵੀਚਾਰਿ ॥
satigur seviaai sukh paaeaa sachai sabad veechaar |

참된 구루를 섬기며 샤바드의 참된 말씀을 묵상하면서 평화를 얻습니다.

ਅੰਦਰਹੁ ਤ੍ਰਿਸਨਾ ਭੁਖ ਗਈ ਸਚੈ ਨਾਇ ਪਿਆਰਿ ॥
andarahu trisanaa bhukh gee sachai naae piaar |

내 안에서 배고픔과 목마름이 사라졌습니다. 나는 진명을 사랑합니다.

ਨਾਨਕ ਨਾਮਿ ਰਤੇ ਸਹਜੇ ਰਜੇ ਜਿਨਾ ਹਰਿ ਰਖਿਆ ਉਰਿ ਧਾਰਿ ॥੧॥
naanak naam rate sahaje raje jinaa har rakhiaa ur dhaar |1|

오 나낙이여, 나암에 물들어 주님을 마음에 굳게 붙잡고 있는 자들은 자동으로 만족합니다. ||1||

ਮਃ ੩ ॥
mahalaa 3 |

세 번째 멜:

ਮਨਮੁਖ ਹਰਿ ਨਾਮੁ ਨ ਸੇਵਿਆ ਦੁਖੁ ਲਗਾ ਬਹੁਤਾ ਆਇ ॥
manamukh har naam na seviaa dukh lagaa bahutaa aae |

제멋대로인 만무크는 주님의 이름을 섬기지 않으므로 끔찍한 고통을 겪습니다.

ਅੰਤਰਿ ਅਗਿਆਨੁ ਅੰਧੇਰੁ ਹੈ ਸੁਧਿ ਨ ਕਾਈ ਪਾਇ ॥
antar agiaan andher hai sudh na kaaee paae |

그는 무지의 어둠으로 가득 차서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합니다.

ਮਨਹਠਿ ਸਹਜਿ ਨ ਬੀਜਿਓ ਭੁਖਾ ਕਿ ਅਗੈ ਖਾਇ ॥
manahatth sahaj na beejio bhukhaa ki agai khaae |

그의 완고한 마음 때문에 그는 직관적인 평화의 씨앗을 심지 않습니다. 그는 내세에서 배고픔을 채우기 위해 무엇을 먹을 것인가?

ਨਾਮੁ ਨਿਧਾਨੁ ਵਿਸਾਰਿਆ ਦੂਜੈ ਲਗਾ ਜਾਇ ॥
naam nidhaan visaariaa doojai lagaa jaae |

그는 남(Naam)의 보물을 잊어버렸습니다. 그는 이중성에 대한 사랑에 빠졌습니다.

ਨਾਨਕ ਗੁਰਮੁਖਿ ਮਿਲਹਿ ਵਡਿਆਈਆ ਜੇ ਆਪੇ ਮੇਲਿ ਮਿਲਾਇ ॥੨॥
naanak guramukh mileh vaddiaaeea je aape mel milaae |2|

오 나낙이여, 구르무크족은 주님께서 친히 그들을 그분의 연합으로 연합시키실 때 영광으로 영예를 얻습니다. ||2||

ਪਉੜੀ ॥
paurree |

포레:

ਹਰਿ ਰਸਨਾ ਹਰਿ ਜਸੁ ਗਾਵੈ ਖਰੀ ਸੁਹਾਵਣੀ ॥
har rasanaa har jas gaavai kharee suhaavanee |

주님을 찬양하는 혀는 참으로 아름답습니다.

ਜੋ ਮਨਿ ਤਨਿ ਮੁਖਿ ਹਰਿ ਬੋਲੈ ਸਾ ਹਰਿ ਭਾਵਣੀ ॥
jo man tan mukh har bolai saa har bhaavanee |

주님의 이름을 마음과 몸과 입으로 부르는 사람은 주님을 기쁘시게 합니다.

ਜੋ ਗੁਰਮੁਖਿ ਚਖੈ ਸਾਦੁ ਸਾ ਤ੍ਰਿਪਤਾਵਣੀ ॥
jo guramukh chakhai saad saa tripataavanee |

구르무크는 주님의 숭고한 맛을 맛보고 만족합니다.

ਗੁਣ ਗਾਵੈ ਪਿਆਰੇ ਨਿਤ ਗੁਣ ਗਾਇ ਗੁਣੀ ਸਮਝਾਵਣੀ ॥
gun gaavai piaare nit gun gaae gunee samajhaavanee |

그녀는 사랑하는 분의 영광스러운 찬양을 계속 노래합니다. 그분의 영광스러운 찬양을 부르자 그녀는 고양되었습니다.

ਜਿਸੁ ਹੋਵੈ ਆਪਿ ਦਇਆਲੁ ਸਾ ਸਤਿਗੁਰੂ ਗੁਰੂ ਬੁਲਾਵਣੀ ॥੧੩॥
jis hovai aap deaal saa satiguroo guroo bulaavanee |13|

그녀는 주님의 자비로 축복받았으며, 구루, 참된 구루의 말씀을 노래합니다. ||13||

ਸਲੋਕੁ ਮਃ ੩ ॥
salok mahalaa 3 |

살록, 세 번째 멜:

ਹਸਤੀ ਸਿਰਿ ਜਿਉ ਅੰਕਸੁ ਹੈ ਅਹਰਣਿ ਜਿਉ ਸਿਰੁ ਦੇਇ ॥
hasatee sir jiau ankas hai aharan jiau sir dee |

코끼리는 고삐에 머리를 내밀고, 모루는 망치에 몸을 바친다.

ਮਨੁ ਤਨੁ ਆਗੈ ਰਾਖਿ ਕੈ ਊਭੀ ਸੇਵ ਕਰੇਇ ॥
man tan aagai raakh kai aoobhee sev karee |

마찬가지로 우리는 우리의 마음과 몸을 구루에게 바칩니다. 우리는 그분 앞에 서서 그분을 섬깁니다.


목차 (1 - 1430)
페이지: 1 - 8
소 다르 페이지: 8 - 10
소 푸락 페이지: 10 - 12
소힐라 페이지: 12 - 13
시리 라그 페이지: 14 - 93
라그 마지 페이지: 94 - 150
라그 가우리 페이지: 151 - 346
라그 아사 페이지: 347 - 488
라그 구지리 페이지: 489 - 526
라그 데이브 간다리 페이지: 527 - 536
라그 비하그라 페이지: 537 - 556
라그 바단스 페이지: 557 - 594
라그 소라트 페이지: 595 - 659
라그 다나스리 페이지: 660 - 695
라그 제이스리 페이지: 696 - 710
라그 토디 페이지: 711 - 718
라그 베라리 페이지: 719 - 720
라그 틀랑 페이지: 721 - 727
라그 수히 페이지: 728 - 794
라그 빌라발 페이지: 795 - 858
라그 곤드 페이지: 859 - 875
라그 라믈리 페이지: 876 - 974
라그 낫 나라얀 페이지: 975 - 983
라그 마리 고라 페이지: 984 - 988
라그 마루 페이지: 989 - 1106
라그 투카리 페이지: 1107 - 1117
라그 케이다라 페이지: 1118 - 1124
라그 베이라오 페이지: 1125 - 1167
라그 바산트 페이지: 1168 - 1196
라그 사랑 페이지: 1197 - 1253
라그 말라르 페이지: 1254 - 1293
라그 칸라 페이지: 1294 - 1318
라그 칼리안 페이지: 1319 - 1326
라그 프라바티 페이지: 1327 - 1351
라그 자이자반티 페이지: 1352 - 1359
살록 세스크리티 페이지: 1353 - 1360
가타 5 메흘 페이지: 1360 - 1361
푼헤이 5 메흘 페이지: 1361 - 1363
차우볼라 5 메흘 페이지: 1363 - 1364
살록 카비르 지 페이지: 1364 - 1377
살록 파리드 지 페이지: 1377 - 1385
스바이야 시리 무크박 메흘 5 페이지: 1385 - 1389
스바이야 첫 번째 메흘 페이지: 1389 - 1390
스바이야 두 번째 메흘 페이지: 1391 - 1392
스바이야 세 번째 메흘 페이지: 1392 - 1396
스바이야 네 번째 메흘 페이지: 1396 - 1406
스바이야 다섯 번째 메흘 페이지: 1406 - 1409
살록 바란 태 바데이크 페이지: 1410 - 1426
살록 메흘 9 페이지: 1426 - 1429
문다바니 메흘 5 페이지: 1429 - 1429
라그말라 페이지: 1430 - 1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