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리 구루 그란트 사흐브

페이지 - 303


ਜਾ ਸਤਿਗੁਰੁ ਸਰਾਫੁ ਨਦਰਿ ਕਰਿ ਦੇਖੈ ਸੁਆਵਗੀਰ ਸਭਿ ਉਘੜਿ ਆਏ ॥
jaa satigur saraaf nadar kar dekhai suaavageer sabh ugharr aae |

참된 구루, 시험자가 눈으로 관찰할 때 이기적인 자들이 모두 드러납니다.

ਓਇ ਜੇਹਾ ਚਿਤਵਹਿ ਨਿਤ ਤੇਹਾ ਪਾਇਨਿ ਓਇ ਤੇਹੋ ਜੇਹੇ ਦਯਿ ਵਜਾਏ ॥
oe jehaa chitaveh nit tehaa paaein oe teho jehe day vajaae |

사람이 생각하는 대로 받아들이고, 주님께서도 그를 알려 주십니다.

ਨਾਨਕ ਦੁਹੀ ਸਿਰੀ ਖਸਮੁ ਆਪੇ ਵਰਤੈ ਨਿਤ ਕਰਿ ਕਰਿ ਦੇਖੈ ਚਲਤ ਸਬਾਏ ॥੧॥
naanak duhee siree khasam aape varatai nit kar kar dekhai chalat sabaae |1|

오 나나크여, 주님이시며 스승이신 주님이 양쪽 끝에서 스며들고 계십니다. 그분은 계속해서 행동하시고 그분 자신의 연극을 지켜보십니다. ||1||

ਮਃ ੪ ॥
mahalaa 4 |

네 번째 멜:

ਇਕੁ ਮਨੁ ਇਕੁ ਵਰਤਦਾ ਜਿਤੁ ਲਗੈ ਸੋ ਥਾਇ ਪਾਇ ॥
eik man ik varatadaa jit lagai so thaae paae |

필멸의 사람은 한 마음입니다. 무엇을 바치든 성공한다는 점에서 말입니다.

ਕੋਈ ਗਲਾ ਕਰੇ ਘਨੇਰੀਆ ਜਿ ਘਰਿ ਵਥੁ ਹੋਵੈ ਸਾਈ ਖਾਇ ॥
koee galaa kare ghanereea ji ghar vath hovai saaee khaae |

어떤 사람들은 말을 많이 하지만 자기 집에 있는 것만 먹습니다.

ਬਿਨੁ ਸਤਿਗੁਰ ਸੋਝੀ ਨਾ ਪਵੈ ਅਹੰਕਾਰੁ ਨ ਵਿਚਹੁ ਜਾਇ ॥
bin satigur sojhee naa pavai ahankaar na vichahu jaae |

참된 스승이 없이는 이해를 얻을 수 없고, 이기주의가 내면에서 떠나지 않습니다.

ਅਹੰਕਾਰੀਆ ਨੋ ਦੁਖ ਭੁਖ ਹੈ ਹਥੁ ਤਡਹਿ ਘਰਿ ਘਰਿ ਮੰਗਾਇ ॥
ahankaareea no dukh bhukh hai hath taddeh ghar ghar mangaae |

이기적인 사람들에게는 고통과 배고픔이 달라붙습니다. 그들은 손을 내밀고 집집마다 구걸합니다.

ਕੂੜੁ ਠਗੀ ਗੁਝੀ ਨਾ ਰਹੈ ਮੁਲੰਮਾ ਪਾਜੁ ਲਹਿ ਜਾਇ ॥
koorr tthagee gujhee naa rahai mulamaa paaj leh jaae |

그들의 허위와 사기는 감춰질 수 없습니다. 그들의 거짓된 모습은 결국 무너진다.

ਜਿਸੁ ਹੋਵੈ ਪੂਰਬਿ ਲਿਖਿਆ ਤਿਸੁ ਸਤਿਗੁਰੁ ਮਿਲੈ ਪ੍ਰਭੁ ਆਇ ॥
jis hovai poorab likhiaa tis satigur milai prabh aae |

그러한 예정된 운명을 가진 사람은 참 구루를 통해 하나님을 만나게 됩니다.

ਜਿਉ ਲੋਹਾ ਪਾਰਸਿ ਭੇਟੀਐ ਮਿਲਿ ਸੰਗਤਿ ਸੁਵਰਨੁ ਹੋਇ ਜਾਇ ॥
jiau lohaa paaras bhetteeai mil sangat suvaran hoe jaae |

철이 철학자의 돌에 닿으면 금으로 변하는 것처럼 사람들도 신성한 회중인 상가트에 가입함으로써 변화됩니다.

ਜਨ ਨਾਨਕ ਕੇ ਪ੍ਰਭ ਤੂ ਧਣੀ ਜਿਉ ਭਾਵੈ ਤਿਵੈ ਚਲਾਇ ॥੨॥
jan naanak ke prabh too dhanee jiau bhaavai tivai chalaae |2|

오 하나님, 당신은 종 나낙의 주인이십니다. 당신 뜻대로 그를 인도하시나이다. ||2||

ਪਉੜੀ ॥
paurree |

포레:

ਜਿਨ ਹਰਿ ਹਿਰਦੈ ਸੇਵਿਆ ਤਿਨ ਹਰਿ ਆਪਿ ਮਿਲਾਏ ॥
jin har hiradai seviaa tin har aap milaae |

온 마음을 다해 주님을 섬기는 사람, 주님께서 친히 그를 자신과 연합시키십니다.

ਗੁਣ ਕੀ ਸਾਝਿ ਤਿਨ ਸਿਉ ਕਰੀ ਸਭਿ ਅਵਗਣ ਸਬਦਿ ਜਲਾਏ ॥
gun kee saajh tin siau karee sabh avagan sabad jalaae |

그는 미덕과 공로로 동업을 맺고 샤바드의 불로 그의 모든 결점을 태워 버립니다.

ਅਉਗਣ ਵਿਕਣਿ ਪਲਰੀ ਜਿਸੁ ਦੇਹਿ ਸੁ ਸਚੇ ਪਾਏ ॥
aaugan vikan palaree jis dehi su sache paae |

단점은 짚처럼 값싸게 구입됩니다. 참 주님의 축복을 받은 사람만이 공덕을 모을 수 있습니다.

ਬਲਿਹਾਰੀ ਗੁਰ ਆਪਣੇ ਜਿਨਿ ਅਉਗਣ ਮੇਟਿ ਗੁਣ ਪਰਗਟੀਆਏ ॥
balihaaree gur aapane jin aaugan mett gun paragatteeae |

나는 나의 결점을 지우고 나의 미덕을 드러내신 구루에게 제물입니다.

ਵਡੀ ਵਡਿਆਈ ਵਡੇ ਕੀ ਗੁਰਮੁਖਿ ਆਲਾਏ ॥੭॥
vaddee vaddiaaee vadde kee guramukh aalaae |7|

구르무크족은 위대하신 주 하나님의 영광스러운 위대함을 노래합니다. ||7||

ਸਲੋਕ ਮਃ ੪ ॥
salok mahalaa 4 |

살록, 네 번째 멜:

ਸਤਿਗੁਰ ਵਿਚਿ ਵਡੀ ਵਡਿਆਈ ਜੋ ਅਨਦਿਨੁ ਹਰਿ ਹਰਿ ਨਾਮੁ ਧਿਆਵੈ ॥
satigur vich vaddee vaddiaaee jo anadin har har naam dhiaavai |

주님의 이름, 하르, 하르(Har, Har)를 밤낮으로 묵상하는 참 구루의 위대함은 위대합니다.

ਹਰਿ ਹਰਿ ਨਾਮੁ ਰਮਤ ਸੁਚ ਸੰਜਮੁ ਹਰਿ ਨਾਮੇ ਹੀ ਤ੍ਰਿਪਤਾਵੈ ॥
har har naam ramat such sanjam har naame hee tripataavai |

주님의 이름 Har, Har를 반복하는 것은 그의 순수함과 자제입니다. 주님의 이름으로 만족하십니다.

ਹਰਿ ਨਾਮੁ ਤਾਣੁ ਹਰਿ ਨਾਮੁ ਦੀਬਾਣੁ ਹਰਿ ਨਾਮੋ ਰਖ ਕਰਾਵੈ ॥
har naam taan har naam deebaan har naamo rakh karaavai |

주님의 이름은 그분의 능력이고, 주님의 이름은 그분의 궁정입니다. 주님의 이름이 그분을 보호하십니다.

ਜੋ ਚਿਤੁ ਲਾਇ ਪੂਜੇ ਗੁਰ ਮੂਰਤਿ ਸੋ ਮਨ ਇਛੇ ਫਲ ਪਾਵੈ ॥
jo chit laae pooje gur moorat so man ichhe fal paavai |

자신의 의식을 집중시키고 구루를 숭배하는 사람은 마음의 욕망의 열매를 얻습니다.

ਜੋ ਨਿੰਦਾ ਕਰੇ ਸਤਿਗੁਰ ਪੂਰੇ ਕੀ ਤਿਸੁ ਕਰਤਾ ਮਾਰ ਦਿਵਾਵੈ ॥
jo nindaa kare satigur poore kee tis karataa maar divaavai |

그러나 완전한 참 구루를 비방하는 사람은 창조주에 의해 살해되고 멸망될 것입니다.

ਫੇਰਿ ਓਹ ਵੇਲਾ ਓਸੁ ਹਥਿ ਨ ਆਵੈ ਓਹੁ ਆਪਣਾ ਬੀਜਿਆ ਆਪੇ ਖਾਵੈ ॥
fer oh velaa os hath na aavai ohu aapanaa beejiaa aape khaavai |

이 기회는 다시는 그의 손에 들어오지 않을 것입니다. 그는 자기가 심은 것을 먹어야 한다.

ਨਰਕਿ ਘੋਰਿ ਮੁਹਿ ਕਾਲੈ ਖੜਿਆ ਜਿਉ ਤਸਕਰੁ ਪਾਇ ਗਲਾਵੈ ॥
narak ghor muhi kaalai kharriaa jiau tasakar paae galaavai |

그는 얼굴이 도둑처럼 검게 변하고 목에 코가 있는 가장 끔찍한 지옥으로 끌려갈 것이다.

ਫਿਰਿ ਸਤਿਗੁਰ ਕੀ ਸਰਣੀ ਪਵੈ ਤਾ ਉਬਰੈ ਜਾ ਹਰਿ ਹਰਿ ਨਾਮੁ ਧਿਆਵੈ ॥
fir satigur kee saranee pavai taa ubarai jaa har har naam dhiaavai |

그러나 만일 그가 다시 참 구루의 성소에 가서 주의 이름 하르 하르를 묵상한다면 그는 구원을 받을 것입니다.

ਹਰਿ ਬਾਤਾ ਆਖਿ ਸੁਣਾਏ ਨਾਨਕੁ ਹਰਿ ਕਰਤੇ ਏਵੈ ਭਾਵੈ ॥੧॥
har baataa aakh sunaae naanak har karate evai bhaavai |1|

나낙은 주님의 이야기를 말하고 선포합니다. 창조주께서 기뻐하시는 대로 말씀하시느니라. ||1||

ਮਃ ੪ ॥
mahalaa 4 |

네 번째 멜:

ਪੂਰੇ ਗੁਰ ਕਾ ਹੁਕਮੁ ਨ ਮੰਨੈ ਓਹੁ ਮਨਮੁਖੁ ਅਗਿਆਨੁ ਮੁਠਾ ਬਿਖੁ ਮਾਇਆ ॥
poore gur kaa hukam na manai ohu manamukh agiaan mutthaa bikh maaeaa |

완전한 구루의 명령인 후캄(Hukam)에 복종하지 않는 자, 그 독선적인 만무크는 그의 무지로 인해 약탈당하고 마야에게 중독됩니다.

ਓਸੁ ਅੰਦਰਿ ਕੂੜੁ ਕੂੜੋ ਕਰਿ ਬੁਝੈ ਅਣਹੋਦੇ ਝਗੜੇ ਦਯਿ ਓਸ ਦੈ ਗਲਿ ਪਾਇਆ ॥
os andar koorr koorro kar bujhai anahode jhagarre day os dai gal paaeaa |

그 안에는 거짓이 있고, 그는 다른 모든 사람을 거짓으로 본다. 주님은 이 쓸모없는 갈등을 그의 목에 묶으셨습니다.

ਓਹੁ ਗਲ ਫਰੋਸੀ ਕਰੇ ਬਹੁਤੇਰੀ ਓਸ ਦਾ ਬੋਲਿਆ ਕਿਸੈ ਨ ਭਾਇਆ ॥
ohu gal farosee kare bahuteree os daa boliaa kisai na bhaaeaa |

그는 계속해서 옹알이를 하지만 그가 하는 말은 누구도 기쁘게 하지 못합니다.

ਓਹੁ ਘਰਿ ਘਰਿ ਹੰਢੈ ਜਿਉ ਰੰਨ ਦੁੋਹਾਗਣਿ ਓਸੁ ਨਾਲਿ ਮੁਹੁ ਜੋੜੇ ਓਸੁ ਭੀ ਲਛਣੁ ਲਾਇਆ ॥
ohu ghar ghar handtai jiau ran duohaagan os naal muhu jorre os bhee lachhan laaeaa |

그는 버림받은 여자처럼 집집마다 떠돌아다닌다. 그와 어울리는 사람은 누구나 악의 표로 얼룩져 있습니다.

ਗੁਰਮੁਖਿ ਹੋਇ ਸੁ ਅਲਿਪਤੋ ਵਰਤੈ ਓਸ ਦਾ ਪਾਸੁ ਛਡਿ ਗੁਰ ਪਾਸਿ ਬਹਿ ਜਾਇਆ ॥
guramukh hoe su alipato varatai os daa paas chhadd gur paas beh jaaeaa |

구르무크가 된 자들은 그를 피합니다. 그들은 그의 동료를 버리고 구루 근처에 앉았습니다.


목차 (1 - 1430)
페이지: 1 - 8
소 다르 페이지: 8 - 10
소 푸락 페이지: 10 - 12
소힐라 페이지: 12 - 13
시리 라그 페이지: 14 - 93
라그 마지 페이지: 94 - 150
라그 가우리 페이지: 151 - 346
라그 아사 페이지: 347 - 488
라그 구지리 페이지: 489 - 526
라그 데이브 간다리 페이지: 527 - 536
라그 비하그라 페이지: 537 - 556
라그 바단스 페이지: 557 - 594
라그 소라트 페이지: 595 - 659
라그 다나스리 페이지: 660 - 695
라그 제이스리 페이지: 696 - 710
라그 토디 페이지: 711 - 718
라그 베라리 페이지: 719 - 720
라그 틀랑 페이지: 721 - 727
라그 수히 페이지: 728 - 794
라그 빌라발 페이지: 795 - 858
라그 곤드 페이지: 859 - 875
라그 라믈리 페이지: 876 - 974
라그 낫 나라얀 페이지: 975 - 983
라그 마리 고라 페이지: 984 - 988
라그 마루 페이지: 989 - 1106
라그 투카리 페이지: 1107 - 1117
라그 케이다라 페이지: 1118 - 1124
라그 베이라오 페이지: 1125 - 1167
라그 바산트 페이지: 1168 - 1196
라그 사랑 페이지: 1197 - 1253
라그 말라르 페이지: 1254 - 1293
라그 칸라 페이지: 1294 - 1318
라그 칼리안 페이지: 1319 - 1326
라그 프라바티 페이지: 1327 - 1351
라그 자이자반티 페이지: 1352 - 1359
살록 세스크리티 페이지: 1353 - 1360
가타 5 메흘 페이지: 1360 - 1361
푼헤이 5 메흘 페이지: 1361 - 1363
차우볼라 5 메흘 페이지: 1363 - 1364
살록 카비르 지 페이지: 1364 - 1377
살록 파리드 지 페이지: 1377 - 1385
스바이야 시리 무크박 메흘 5 페이지: 1385 - 1389
스바이야 첫 번째 메흘 페이지: 1389 - 1390
스바이야 두 번째 메흘 페이지: 1391 - 1392
스바이야 세 번째 메흘 페이지: 1392 - 1396
스바이야 네 번째 메흘 페이지: 1396 - 1406
스바이야 다섯 번째 메흘 페이지: 1406 - 1409
살록 바란 태 바데이크 페이지: 1410 - 1426
살록 메흘 9 페이지: 1426 - 1429
문다바니 메흘 5 페이지: 1429 - 1429
라그말라 페이지: 1430 - 1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