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리 구루 그란트 사흐브

페이지 - 593


ਮਨਮੁਖਿ ਅੰਧ ਨ ਚੇਤਨੀ ਜਨਮਿ ਮਰਿ ਹੋਹਿ ਬਿਨਾਸਿ ॥
manamukh andh na chetanee janam mar hohi binaas |

눈멀고 자기 뜻대로만 고집하는 만무크들은 주님을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탄생과 죽음을 통해 망가졌습니다.

ਨਾਨਕ ਗੁਰਮੁਖਿ ਤਿਨੀ ਨਾਮੁ ਧਿਆਇਆ ਜਿਨ ਕੰਉ ਧੁਰਿ ਪੂਰਬਿ ਲਿਖਿਆਸਿ ॥੨॥
naanak guramukh tinee naam dhiaaeaa jin knau dhur poorab likhiaas |2|

오 나나크여, 구르무크족은 주의 이름인 나암을 묵상합니다. 이것이 원시 주 하나님이 미리 정하신 그들의 운명입니다. ||2||

ਪਉੜੀ ॥
paurree |

포레:

ਹਰਿ ਨਾਮੁ ਹਮਾਰਾ ਭੋਜਨੁ ਛਤੀਹ ਪਰਕਾਰ ਜਿਤੁ ਖਾਇਐ ਹਮ ਕਉ ਤ੍ਰਿਪਤਿ ਭਈ ॥
har naam hamaaraa bhojan chhateeh parakaar jit khaaeaai ham kau tripat bhee |

주님의 이름은 나의 음식입니다. 36가지 종류를 먹어보니 배부르고 배불러요.

ਹਰਿ ਨਾਮੁ ਹਮਾਰਾ ਪੈਨਣੁ ਜਿਤੁ ਫਿਰਿ ਨੰਗੇ ਨ ਹੋਵਹ ਹੋਰ ਪੈਨਣ ਕੀ ਹਮਾਰੀ ਸਰਧ ਗਈ ॥
har naam hamaaraa painan jit fir nange na hovah hor painan kee hamaaree saradh gee |

주님의 이름은 나의 옷입니다. 그것을 입으면 나는 다시는 벌거벗지 않을 것이며, 다른 옷을 입고 싶은 욕망도 사라질 것입니다.

ਹਰਿ ਨਾਮੁ ਹਮਾਰਾ ਵਣਜੁ ਹਰਿ ਨਾਮੁ ਵਾਪਾਰੁ ਹਰਿ ਨਾਮੈ ਕੀ ਹਮ ਕੰਉ ਸਤਿਗੁਰਿ ਕਾਰਕੁਨੀ ਦੀਈ ॥
har naam hamaaraa vanaj har naam vaapaar har naamai kee ham knau satigur kaarakunee deeee |

주님의 이름은 나의 사업이고, 주님의 이름은 나의 사업입니다. 진정한 구루(True Guru)께서 그 사용을 축복해 주셨습니다.

ਹਰਿ ਨਾਮੈ ਕਾ ਹਮ ਲੇਖਾ ਲਿਖਿਆ ਸਭ ਜਮ ਕੀ ਅਗਲੀ ਕਾਣਿ ਗਈ ॥
har naamai kaa ham lekhaa likhiaa sabh jam kee agalee kaan gee |

내가 여호와의 이름을 기록하니 다시는 죽음을 당하지 아니하리로다

ਹਰਿ ਕਾ ਨਾਮੁ ਗੁਰਮੁਖਿ ਕਿਨੈ ਵਿਰਲੈ ਧਿਆਇਆ ਜਿਨ ਕੰਉ ਧੁਰਿ ਕਰਮਿ ਪਰਾਪਤਿ ਲਿਖਤੁ ਪਈ ॥੧੭॥
har kaa naam guramukh kinai viralai dhiaaeaa jin knau dhur karam paraapat likhat pee |17|

구르무크(Gurmukh)와 같은 소수만이 주님의 이름을 묵상합니다. 그들은 주님의 축복을 받고 미리 정해진 운명을 받습니다. ||17||

ਸਲੋਕ ਮਃ ੩ ॥
salok mahalaa 3 |

살록, 세 번째 멜:

ਜਗਤੁ ਅਗਿਆਨੀ ਅੰਧੁ ਹੈ ਦੂਜੈ ਭਾਇ ਕਰਮ ਕਮਾਇ ॥
jagat agiaanee andh hai doojai bhaae karam kamaae |

세상은 눈멀고 무지합니다. 이원성을 사랑하면서 행동에 참여합니다.

ਦੂਜੈ ਭਾਇ ਜੇਤੇ ਕਰਮ ਕਰੇ ਦੁਖੁ ਲਗੈ ਤਨਿ ਧਾਇ ॥
doojai bhaae jete karam kare dukh lagai tan dhaae |

그러나 이원성에 대한 사랑으로 수행되는 그러한 행동은 몸에 고통만을 초래할 뿐입니다.

ਗੁਰਪਰਸਾਦੀ ਸੁਖੁ ਊਪਜੈ ਜਾ ਗੁਰ ਕਾ ਸਬਦੁ ਕਮਾਇ ॥
guraparasaadee sukh aoopajai jaa gur kaa sabad kamaae |

구루의 샤바드(Shabad)의 말씀에 따라 행동할 때 구루의 은총으로 평화가 솟아오릅니다.

ਸਚੀ ਬਾਣੀ ਕਰਮ ਕਰੇ ਅਨਦਿਨੁ ਨਾਮੁ ਧਿਆਇ ॥
sachee baanee karam kare anadin naam dhiaae |

그는 전문가 바니(Guru's Bani)의 참된 말씀에 따라 행동합니다. 그는 밤낮으로 여호와의 이름인 나암을 묵상합니다.

ਨਾਨਕ ਜਿਤੁ ਆਪੇ ਲਾਏ ਤਿਤੁ ਲਗੇ ਕਹਣਾ ਕਿਛੂ ਨ ਜਾਇ ॥੧॥
naanak jit aape laae tith lage kahanaa kichhoo na jaae |1|

오 나나크여, 주님께서 친히 그와 약혼하셨듯이 그도 약혼한 것입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누구도 발언권이 없습니다. ||1||

ਮਃ ੩ ॥
mahalaa 3 |

세 번째 멜:

ਹਮ ਘਰਿ ਨਾਮੁ ਖਜਾਨਾ ਸਦਾ ਹੈ ਭਗਤਿ ਭਰੇ ਭੰਡਾਰਾ ॥
ham ghar naam khajaanaa sadaa hai bhagat bhare bhanddaaraa |

내 존재의 집 안에는 남(Naam)의 영원한 보물이 있습니다. 헌신이 넘치는 보물창고입니다.

ਸਤਗੁਰੁ ਦਾਤਾ ਜੀਅ ਕਾ ਸਦ ਜੀਵੈ ਦੇਵਣਹਾਰਾ ॥
satagur daataa jeea kaa sad jeevai devanahaaraa |

참된 구루는 영혼의 생명을 주시는 분입니다. 위대한 기부자는 영원히 살아 계십니다.

ਅਨਦਿਨੁ ਕੀਰਤਨੁ ਸਦਾ ਕਰਹਿ ਗੁਰ ਕੈ ਸਬਦਿ ਅਪਾਰਾ ॥
anadin keeratan sadaa kareh gur kai sabad apaaraa |

밤낮으로 나는 구루의 샤바드(Shabad)의 무한한 말씀을 통해 주님을 찬양하는 키르탄(Kirtan)을 계속 노래합니다.

ਸਬਦੁ ਗੁਰੂ ਕਾ ਸਦ ਉਚਰਹਿ ਜੁਗੁ ਜੁਗੁ ਵਰਤਾਵਣਹਾਰਾ ॥
sabad guroo kaa sad uchareh jug jug varataavanahaaraa |

나는 여러 시대에 걸쳐 효과적이었던 구루의 샤바드(Guru's Shabads)를 계속해서 암송합니다.

ਇਹੁ ਮਨੂਆ ਸਦਾ ਸੁਖਿ ਵਸੈ ਸਹਜੇ ਕਰੇ ਵਾਪਾਰਾ ॥
eihu manooaa sadaa sukh vasai sahaje kare vaapaaraa |

이 마음은 항상 평화롭게 머물며 평화와 균형을 유지합니다.

ਅੰਤਰਿ ਗੁਰ ਗਿਆਨੁ ਹਰਿ ਰਤਨੁ ਹੈ ਮੁਕਤਿ ਕਰਾਵਣਹਾਰਾ ॥
antar gur giaan har ratan hai mukat karaavanahaaraa |

내 깊은 곳에는 구루의 지혜, 주님의 보석, 해방을 가져오는 분이 계십니다.

ਨਾਨਕ ਜਿਸ ਨੋ ਨਦਰਿ ਕਰੇ ਸੋ ਪਾਏ ਸੋ ਹੋਵੈ ਦਰਿ ਸਚਿਆਰਾ ॥੨॥
naanak jis no nadar kare so paae so hovai dar sachiaaraa |2|

오 나나크여, 주님의 은총의 눈으로 축복받은 사람은 이것을 얻고 주님의 법정에서 진실하다고 판단됩니다. ||2||

ਪਉੜੀ ॥
paurree |

포레:

ਧੰਨੁ ਧੰਨੁ ਸੋ ਗੁਰਸਿਖੁ ਕਹੀਐ ਜੋ ਸਤਿਗੁਰ ਚਰਣੀ ਜਾਇ ਪਇਆ ॥
dhan dhan so gurasikh kaheeai jo satigur charanee jaae peaa |

참된 구루의 발 앞에 가서 쓰러지는 구루의 시크교는 축복받았습니다.

ਧੰਨੁ ਧੰਨੁ ਸੋ ਗੁਰਸਿਖੁ ਕਹੀਐ ਜਿਨਿ ਹਰਿ ਨਾਮਾ ਮੁਖਿ ਰਾਮੁ ਕਹਿਆ ॥
dhan dhan so gurasikh kaheeai jin har naamaa mukh raam kahiaa |

입으로 주님의 이름을 말하는 구루의 시크교도는 복이 있습니다.

ਧੰਨੁ ਧੰਨੁ ਸੋ ਗੁਰਸਿਖੁ ਕਹੀਐ ਜਿਸੁ ਹਰਿ ਨਾਮਿ ਸੁਣਿਐ ਮਨਿ ਅਨਦੁ ਭਇਆ ॥
dhan dhan so gurasikh kaheeai jis har naam suniaai man anad bheaa |

주님의 이름을 듣고 마음이 행복해지는 구루의 시크교도는 복이 있습니다.

ਧੰਨੁ ਧੰਨੁ ਸੋ ਗੁਰਸਿਖੁ ਕਹੀਐ ਜਿਨਿ ਸਤਿਗੁਰ ਸੇਵਾ ਕਰਿ ਹਰਿ ਨਾਮੁ ਲਇਆ ॥
dhan dhan so gurasikh kaheeai jin satigur sevaa kar har naam leaa |

참된 구루를 섬기고 그리하여 주님의 이름을 얻는 구루의 시크교도는 복이 있습니다.

ਤਿਸੁ ਗੁਰਸਿਖ ਕੰਉ ਹੰਉ ਸਦਾ ਨਮਸਕਾਰੀ ਜੋ ਗੁਰ ਕੈ ਭਾਣੈ ਗੁਰਸਿਖੁ ਚਲਿਆ ॥੧੮॥
tis gurasikh knau hnau sadaa namasakaaree jo gur kai bhaanai gurasikh chaliaa |18|

나는 구루의 길을 걷고 있는 구루의 시크교에게 영원히 깊은 존경을 표합니다. ||18||

ਸਲੋਕੁ ਮਃ ੩ ॥
salok mahalaa 3 |

살록, 세 번째 멜:

ਮਨਹਠਿ ਕਿਨੈ ਨ ਪਾਇਓ ਸਭ ਥਕੇ ਕਰਮ ਕਮਾਇ ॥
manahatth kinai na paaeio sabh thake karam kamaae |

완고한 마음으로 주님을 찾은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모두가 그러한 행동을 수행하는 데 지쳤습니다.

ਮਨਹਠਿ ਭੇਖ ਕਰਿ ਭਰਮਦੇ ਦੁਖੁ ਪਾਇਆ ਦੂਜੈ ਭਾਇ ॥
manahatth bhekh kar bharamade dukh paaeaa doojai bhaae |

그들의 완고한 마음과 변장을 통해 그들은 미혹되고 있습니다. 그들은 이원성에 대한 사랑 때문에 고통을 받습니다.

ਰਿਧਿ ਸਿਧਿ ਸਭੁ ਮੋਹੁ ਹੈ ਨਾਮੁ ਨ ਵਸੈ ਮਨਿ ਆਇ ॥
ridh sidh sabh mohu hai naam na vasai man aae |

부와 싯다의 초자연적 영적 힘은 모두 감정적 애착입니다. 그들을 통해 주의 이름인 나암이 마음에 거하지 않게 됩니다.

ਗੁਰ ਸੇਵਾ ਤੇ ਮਨੁ ਨਿਰਮਲੁ ਹੋਵੈ ਅਗਿਆਨੁ ਅੰਧੇਰਾ ਜਾਇ ॥
gur sevaa te man niramal hovai agiaan andheraa jaae |

구루를 섬기면 마음이 더할 나위 없이 순수해지고 영적 무지의 어둠이 쫓겨납니다.

ਨਾਮੁ ਰਤਨੁ ਘਰਿ ਪਰਗਟੁ ਹੋਆ ਨਾਨਕ ਸਹਜਿ ਸਮਾਇ ॥੧॥
naam ratan ghar paragatt hoaa naanak sahaj samaae |1|

남의 보석은 자신의 존재의 집에서 드러납니다. 오 나낙(Nanak)이여, 천상의 행복 속에 합쳐지느니라. ||1||

ਮਃ ੩ ॥
mahalaa 3 |

세 번째 멜:


목차 (1 - 1430)
페이지: 1 - 8
소 다르 페이지: 8 - 10
소 푸락 페이지: 10 - 12
소힐라 페이지: 12 - 13
시리 라그 페이지: 14 - 93
라그 마지 페이지: 94 - 150
라그 가우리 페이지: 151 - 346
라그 아사 페이지: 347 - 488
라그 구지리 페이지: 489 - 526
라그 데이브 간다리 페이지: 527 - 536
라그 비하그라 페이지: 537 - 556
라그 바단스 페이지: 557 - 594
라그 소라트 페이지: 595 - 659
라그 다나스리 페이지: 660 - 695
라그 제이스리 페이지: 696 - 710
라그 토디 페이지: 711 - 718
라그 베라리 페이지: 719 - 720
라그 틀랑 페이지: 721 - 727
라그 수히 페이지: 728 - 794
라그 빌라발 페이지: 795 - 858
라그 곤드 페이지: 859 - 875
라그 라믈리 페이지: 876 - 974
라그 낫 나라얀 페이지: 975 - 983
라그 마리 고라 페이지: 984 - 988
라그 마루 페이지: 989 - 1106
라그 투카리 페이지: 1107 - 1117
라그 케이다라 페이지: 1118 - 1124
라그 베이라오 페이지: 1125 - 1167
라그 바산트 페이지: 1168 - 1196
라그 사랑 페이지: 1197 - 1253
라그 말라르 페이지: 1254 - 1293
라그 칸라 페이지: 1294 - 1318
라그 칼리안 페이지: 1319 - 1326
라그 프라바티 페이지: 1327 - 1351
라그 자이자반티 페이지: 1352 - 1359
살록 세스크리티 페이지: 1353 - 1360
가타 5 메흘 페이지: 1360 - 1361
푼헤이 5 메흘 페이지: 1361 - 1363
차우볼라 5 메흘 페이지: 1363 - 1364
살록 카비르 지 페이지: 1364 - 1377
살록 파리드 지 페이지: 1377 - 1385
스바이야 시리 무크박 메흘 5 페이지: 1385 - 1389
스바이야 첫 번째 메흘 페이지: 1389 - 1390
스바이야 두 번째 메흘 페이지: 1391 - 1392
스바이야 세 번째 메흘 페이지: 1392 - 1396
스바이야 네 번째 메흘 페이지: 1396 - 1406
스바이야 다섯 번째 메흘 페이지: 1406 - 1409
살록 바란 태 바데이크 페이지: 1410 - 1426
살록 메흘 9 페이지: 1426 - 1429
문다바니 메흘 5 페이지: 1429 - 1429
라그말라 페이지: 1430 - 1430